다음으로는 실행파일로 변경해야 한다.
현재 폴더에 있는 실행 파일로 빌드 하라고 알려줘야 한다.
./gradlew build
./ 는 현재 내부에서 찾겠다는 명령어 이다.

빌드가 모두 끝나면 build 폴더가 생성된다.

cd build
cd libs
다음으로 이동해야 한다.
build폴더 내부의 libs폴더 내부에 실행파일이 만들어져 있다.

v1 -0.0.1-SNAPSHOT.jar 실행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.
jar 파일로 잘 구워졌으니 실행해보자.
java -jar v1-0.0.1-SNAPSHOT.jar

스프링이 잘 실행된다.
탄력적 IP주소로 접속해보자.

엇.. 접속이 안된다.
port가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자.

aws 보안그룹 > 인바운드 규칙 > 보안그룹 규칙 추가에서 사용자 지정 TCP로 포트번호 8080(로컬)을 열어준다.
(보안때문에 이미지는 생략...)
그 다음 다시 들어가보자.

아따~ 잘 뜬다. 아주좋다.

로그도 정상적으로 잘 넘어온다.
반응형
'DevOps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백엔드 서버 작업사항 (0) | 2024.02.19 |
---|---|
[AWS] 프로젝트 백그라운드로 실행해보기 (0) | 2024.01.26 |
[AWS] 프로젝트 배포하기 1 - Gradlew권한부여/JDK 세팅 (2) | 2024.01.26 |
[AWS]open SSH 이용하여 ubuntu 접속하기 (0) | 2024.01.26 |
[AWS] 탄력적 IP 생성(할당) 및 연결 (0) | 2024.01.26 |